대학원 시각영상디자인/research_lecture

영어논문 초록 abstract 쓰기

jisunlee 2015. 3. 16. 12:04

출처 : http://m.blog.daum.net/ethinktank/9455440#none

영어논문 초록 abstract 쓰기

중앙대에서 실무영어 특강 중인데 아무래도 grade를 부여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다보니 특히 추석연휴이후 출석률이 조금씩 저조해 지는 듯 합니다. 그래도 매번 자리를 지키는 친구들은 똘망똘망한 눈으로 메모도 하고 집중하는 모습을 보면 참 대견스럽고 제가 더 알려주고 싶은 욕심에 목소리가 격양됩니다. 일반영어적 지식이라기 보다는 취업, 논문작성, 영어 발표 등 앞으로 학생들이 세계적 무대에서 빛을 발하기 위해 필요한 실무 영어 커뮤니케이션에 큰 도움이 되는 마음이 간절합니다.

미미하지만 제가 하는 일이 그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
 

음. 각설하고...

이 포스팅에서는 특별히 이공계 (컴퓨터 공학 등) 및 이과분야에서 많이 다루는 technical writing 논문 작성 중 abstract에 대해 설명해 드리죠.

 

 

자, 여기 논문의 예시가 있습니다.

 

abstract 즉 초록은 250자 이내로 논문의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하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 독자들은 주로 제목과 이 부분을 먼저 스캔한 후 논문을 열람할지 (혹은 구매할지) 결정하게 됩니다. 페이지뷰가 올라간다는 것은 그만큼 논문이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지표가 높으면 높을 수록 그 분야의 credential (권위)를 얻게 되지요.

 

따라서 abstract는 정말 공을 들여 작성해야 합니다. 논문을 미리 다 쓴 후에 조금 더 객관적인 태도로 초록 작업을 하는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.

사실 초록의 구조만 잘 파악해도 작성에 큰 어려움은 없을 듯 합니다.

미묘한 표현과 단어 선택에 차이에서 오는 느낌을 떠나 일단 초록도, 특별히 technical writing에서는 암묵적으로 따르는 구조가 있습니다.

 

바로 위에 제시한 background/gap --> What we did (innovation, insight) --> contributions --> method --> result 입니다.

 

먼저 Background/gap 즉 배경과 연구이슈의 '차이' gap 섹션에서 연구 혹은 논문을 쓰게 된 배경에 대해 academic하면서도 일목요연하게 정리합니다. 이 때 이전 연구의 한계점이라던가, 새로운 연구의 차이점등에 대해 명확하게 밝히도록 합니다.

 

What we did 섹션에서는 이 연구의 혁신적인 면 (innovation) 혹은 새로운 착안 (insight)을 강조하며 이전 연구와 차별화 시키도록 합니다. 어떤 연구를 어떻게 왜 진행했는지 정리하면 됩니다.

 

Contributions 섹션에서는 이 연구나 논문이 이 분야에 기여하는 점을 academic한 부분, 혹은 상용화되는 부분에도 강조하여 서술합니다.

 

Method는 연구나 논문을 시행하기 위해 크게 적용한 방법론, 이론, 실행방법등을 서술합니다. 객관적으로 fact 위주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Results 이 연구의 주제문을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서술합니다. 개인적인 견해는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여 이 연구가 제시하는 중요한 사항을 암시, 강조합니다.

 

규칙은 바로 abstract를 통해 논문을 읽고 싶게 만드는 것입니다.

100%를 다 보여 줄 필요가 없습니다. 여자도 (남자도) 약간 노출한 것이 더 궁금증(?)을 자아하는 것과 마찬가지죠.

딱 30%만 보여주면 좋을 듯 합니다.